표준어 규정 (88-2) > ⓘ 생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 생활 정보

표준어 규정 (88-2)

페이지 정보

작성자 SDJ 작성일17-05-18 14:19 조회2,359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글쓴이 : Jin (222.237.48.131)     날짜 : 07-07-07 12:45     조회 : 7490    

 

 

 

표준어 규정

 

고시


문교부 고시 제 88-2호

  표준어 규정을 다음과 같이 고시한다.

  1988년 1월 19일

문교부 장관


부칙 : 표준어 규정은 ‘89년 3월 1일 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도 사정이 필요한 부분은 본 규정에 의하여 사정된 부분부터 적용한다.



일러두기


1. 이 ‘표준어 규정’은 개정된 표준어 규정에 따라 작성된 것이다.

2. 이 규정은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과 ‘제2부 표준 발음법’ 으로 나누어 지며, 표준어 사정 원칙은 3장으로, 표준 발음법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예시어에는 접사와 어미도 포함되어 있다.

4. 예시어를 ‘표준어 모음’에 실을 때에는 필요한 경우 재사정할 수 있다.

5. 문법 체계 및 용어는 ‘학교 문법 용어’(문교부 제정)에 따랐다.

6. 의미의 혼동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다를 병기하였다.

7. ‘다만’ 과 ‘[붙임]’ 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썼다.

  다만 : 규정의 본문에 해당하지 않는 예외 사항을 제시하는 경우

  [붙임] : 규정의 본문에 포함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사항을 보충할 경우

8. 이 규정의 표기 및 문장 부호의 사용은 개정된 ‘한글 맞춤법’에 따랐다.



제 1 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 1 장  총칙


제 1 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2 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제 2 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 1 절  자음


제 3 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를 가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끄나풀

나팔-꽃

부엌

살-쾡이

 

털어-먹다 

끄나불

나발-꽃

부억

삵-괭이

 

떨어-먹다

 

 

동~, 들~, 새벽~,동틀~

 

 

1.~막이, 빈~, 방 한~

2. ‘초가삼간, 윗간’의 경우에는 ‘간’임.

재물을 다 없애다.


제 4 항  다음 단어들은 거센소리로 나지 않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가을-갈이

거시기

분침

가을-카리

거시키

푼침

 


제 5 항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강낭-콩

고삿

사글-세

울력-성당

강남-콩

고샅

삭월-세

위력-성당

 

겉~, 속~

‘월세’는 표준어임

떼를 지어서 으르고 협박하는 일


다만, 어원적으로 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가 아직 쓰이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갈비

갓모

 

굴-젓

말-곁

물-수란

밀-뜨리다

적-이

휴-지

가리

갈모

 

구-젓

말-겻

물-수랄

미-뜨리다

저으기

수지

~구이, ~찜, 갈빗-대

1. 사기 만드는 물레 밑고리

2. ‘갈모’는 갓 위에 쓰는, 유지로 만든 우비

 

 

 

 

적이-나, 적이나-하면

 


제 6 항  다음 단어들은 의미를 구별함이 없이,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둘-째

셋-째

넷-째

빌리다

 

두-째

세-째

네-째

빌다

 

생일, 주기

‘제 2, 두 개째’의 뜻

‘제 3, 세 개째’의 뜻

‘제 4, 네 개째’의 뜻

1. 빌려 주다, 발려 오다

2. ‘용서를 빌다’는 ‘빌다’임.


다만, ‘둘째’는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에 ‘두째’로 한다.


비고

열두-째

스물두-째

 

열두 개째의 뜻은 ‘열둘째’로

스물두 개째의 뜻은 ‘스물둘째’로


제 7 항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수-꿩

수-나사

수-놈

수-사돈

수-소

수-은행나무

수-퀑, 숫-꿩

숫-나사

숫-놈

숫-사돈

숫-소

숫-은행나무

‘장끼’도 표준어임.

 

 

 

‘황소’도 표준어임.

 


다만 1. 다음 단어에서는 접두사 다음에서 나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접두사 ‘암-’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숫-강아지

숫-개

숫-것

숫-기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

숫-닭

숫-당나귀

숫-돌쩌귀

숫-돼지

숫-병아리

 


다만 2. 다음 단어의 접두사는 ‘숫-’으로 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숫-양

숫-염소

숫-쥐

수-양

수-염소

수-쥐

 


제 2 절  모음


제 8 항  양성모음이 음성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깡충-깡충

-둥이

 

발가-숭이

 

보퉁이

봉죽

뻗정-다리

아서, 아서라

오뚝-이

주추

깡총-깡총

-동이

 

발가-송이

 

보통이

봉족

뻗장-다리

앗아, 앗아라

오똑-이

주초

큰말은 ‘껑충껑충’임.

←童-이. 귀-, 막-, 선-, 쌍-, 검-,

바람-, 흰-

센말은 ‘빨가숭이’, 큰말은 ‘벌거숭이, 뻘거숭이’ 임.

 

←奉足. ~꾼, ~들다

 

하자 말라고 금지하는 말

부사도 ‘오뚝-이’임.

←柱礎. 주춧-돌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부조(扶助)

사돈(査頓)

삼촌(三寸)

부주

사둔

삼춘

~금, 부좃-술

밭~, 안~

시~, 외~, 처~


제 9 항  ‘ㅣ’ 역행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다만 다음 단어들은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내기

냄비

동댕이-치다

-나기

남비

동당이-치다

서울-, 시골-, 신출-, 풋-

 

 

[붙임 1] 다음 단어는 ‘ㅣ’ 역행동화가 일어나지 아니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아지랑이

아지랭이

 


[붙임 2]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미장이

유기장이

멋쟁이

소금쟁이

담쟁이-덩굴

골목쟁이

발목쟁이

미쟁이

유기쟁이

멋장이

소금장이

담장이-덩굴

골목장이

발목장이

 


제 10 항  다음 단어는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괴팍-하다

-구먼

미루-나무

미륵

여느

온-달

으레

케케-묵다

허우대

허우적-허우적

괴퍅-하다/괴팩-하다

-구면

미류-나무

미력

여늬

왼-달

으례

켸켸-묵다

허위대

허위적-허위적

 

 

←美柳~.

←彌勒. ~보살, ~불, 돌~

 

만 한 달

 

 

 

허우적-거리다


제 11 항  다음 단어에서는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구려

깍쟁이

 

나무라다

미수

바라다

상추

시러베-아들

주책

-구료

깍정이

 

나무래다

미시

바래다

상치

실업의-아들

주착

 

1. 서울~, 알~, 찰~

2. 도토리, 상수리 등의 받침은 ‘깍정이’임

 

미숫-가루

‘바램[所望]’은 비표준어임.

~쌈

 

←主着. ~망나니, ~없다.

지루-하다

튀기

허드레

호루라기

지리-하다

트기

허드래

호루루기

←支離.

허드렛-물, 허드렛-일

 


제 12 항  ‘웃-’ 및 ‘윗-’ 은 명사 ‘위’ 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윗-넓이

윗-눈썹

윗-니

윗-당줄

윗-덧줄

윗-도리

윗-동아리

윗-막이

윗-머리

윗-목

윗-몸

윗-바람

윗-배

윗-벌

윗-변

윗-사랑

윗-세장

윗-수염

윗-입술

윗-잇몸

윗-자리

윗-중방

윗-통

웃-넓이

웃-눈썹

웃-니

웃-당줄

웃-덧줄

웃-도리

웃-동아리

웃-막이

웃-머리

웃-목

웃-몸

웃-바람

웃-배

웃-벌

웃-변

웃-사랑

웃-세장

웃-수염

웃-입술

웃-잇몸

웃-자리

웃-중방

웃-통

 

 

 

 

 

 

준말은 ‘윗동’ 임

 

 

 

~운동

 

 

 

수학 용어

 


다만 1.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서는 ‘위-’로 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위-짝

위-쪽

위-채

위-층

위-치마

위-턱

위-팔

웃-짝

웃-쪽

웃-채

웃-층

웃-치마

웃-턱

웃-팔

 

 

 

 

 

~구름[上層雲]


다만 2. ‘아래, 위’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발음뒤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웃-국

웃-기

웃-돈

웃-비

웃-어른

웃-옷

윗-국

윗-기

윗-돈

윗-비

윗-어른

윗-옷

 

 

 

~걷다


제 13 항  한자 ‘구(句)’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는 ‘귀’로 읽는 것을 인정하지 아니하고, ‘구’로 통일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구법(句法)

구절(句節)

구점(句點)

견구(結句)

경구(警句)

경인구(警人句)

난구(難句)

단구(短句)

단명구(短命句)

대구(對句)

문구(文句)

성구(成句)

시구(詩句)

어구(語句)

연구(聯句)

인용구(引用句)

절구(絶句)

귀법

귀절

귀점

결귀

경귀

경인귀

난귀

단귀

단명귀

대귀

문귀

성귀

시귀

어귀

연귀

인용귀

절귀

 

 

 

 

 

 

 

 

 

~법(對句法)

 

~어(成句語)


다만, 다음 단어는 ‘귀’로 발음되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귀-글

글-귀

구-글

글-구

 


제 3 절  준말


제 14 항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귀찮다

똬리

 

귀치 않다

기음

또아리

무우

 

 

~매다

 

~강즙, ~말랭이, ~생채, 가랑~, 갓~, 외~, 총각~

미다

 

뱀-장어

생-쥐

솔개

온-갖

장사-치

무이다

 

배암

배암-장어

비음

새암

새앙-쥐

소리개

온-가지

장사-아치

1. 털이 빠져 살이 드러나다.

2. 찢어지다

 

 

설~, 생일~

~바르다, ~바리

 


제 15 항  준말이 쓰이고 있더라도, 본말이 널리 쓰이고 있으면 본말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경황-없다

궁상-떨다

귀이-개

낌새

낙인-찍다

내왕-꾼

돗-자리

뒤웅-박

뒷물-대야

마구-잡이

맵자-하다

모이

벽-돌

부스럼

살얼음-판

수두룩-하다

암-죽

어음

일구다

죽-살이

퇴박-맞다

한통-치다

경-없다

궁-떨다

귀-개

낙-하다/ 낙-치다

냉-꾼

뒝-박

뒷-대야

막-잡이

맵자다

부럼

살-판

수둑-하다

일다

죽-살

퇴-맞다

통-치다

 

 

 

 

 

 

 

 

 

 

모양이 제격에 어울리다

 

 

정월 보름에 쓰는 ‘부럼’은 표준어임.

 


[붙임] 다음과 같이 명사에 조사가 붙는 경우에도 이 원칙을 적용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아래-로

알-로

 


제 16 항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ㄱ은 본말이며, ㄴ은 준말임.)

비고

거짓-부리

노을

막대기

망태기

머무르다

서두르다

서투르디

석새-삼베

시-누이

오-누이

외우다

이기죽-거리다

찌꺼기

거짓-불

막대

망태

머물다

서둘다

서툴다

석새-베

시-뉘/시-누

오-뉘/오-누

외다

이죽-거리다

찌끼

작은말은 ‘가짓부러, 가짓불’임

저녁~

 

 

모음 어미가 연결될 때에는 준말의 활용형을 인정하지 않음.

 

 

 

 

외우며, 외워 : 외며, 외어

 

‘찌꺽지’는 비표준어임.


제 4 절  단수 표준어


제 17 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거든-그리다

 

구어-박다

귀-고리

귀-띔

귀-지

까딱-하면

꼭두-각시

내색

내숭-스럽다

냠냠-거리다

냠냠-이

너[四]

넉[四]

다다르다

댑-싸리

더부룩-하다

-던

 

 

-던가

-던걸

-던고

-던데

-던지

-(으)려고

거둥-그리다

 

구워-박다

귀엣-고리

귀-틤

귀-에지

까땍-하면

꼭둑- 각시

나색

내흉-스럽다

얌냠-거리다

얌냠-이

너/네

다닫다

대-싸리

더뿌룩-하다/듬뿌룩-하다

-든

 

 

-든가

-든걸

-든고

-든데

-든지

-(으)ㄹ려고/-(으)ㄹ라고

1. 거든하게 거두어 싸다

2. 작은말은 ‘가든-그리다’임.

사람이 한 군데서만 지내다.

 

 

 

 

 

감정이 나타나는 얼굴 빛

 

냠냠-하다

 

~돈, ~말, ~발, ~푼

~냥, ~되, ~섬, ~자

 

 

 

선택, 무관의 뜻을 나타내는 어미는‘-든’임.

가-든(지) 말-든(지),

보-든(가) 말-든(가)

 

 

 

 

 

-(으)려야

망가-뜨리다

멸치

반빗-아치

 

보습

본새

봉숭아

뺨-따귀

뻐개다[斫]

뻐기다[誇]

사자-탈

상-판대기

서[三]

석[三]

설령(設令)

-습니다

 

 

시름-시름

씀벅-씀벅

아궁이

아내

어중-간

오금-팽이

오래-오래

-올시다

옹골-차다

우두커니

잠-투정

재봉-틀

짓-무르다

짚-북데기

 

천장(天障)

코-맹맹이

흉-업다

-(으)ㄹ려야/-(으)ㄹ래야

망그-뜨리다

며루치/메리치

반비-아치

 

보십/보섭

뽄새

봉숭화

뺌-따귀/뺨따구니

뻐기다

뻐개다

사지-탈

쌍-판대기

세/석

서령

-읍니다

 

 

시늠-시늠

썸벅-썸벅

아궁지

안해

어지-중간

오금-탱이

도래-도래

-올습니다

공골-차다

우두머니

잠-투세/잠-주정

자봉-틀

짓-물다

짚-북세기

 

천정

코-맹녕이

흉-헙다

 

 

 

‘반빗’ 노릇을 하는 사람, 찬비(饌婢)

‘반비’는 밥짓는 일을 맡은 계집종

 

 

‘봉선화’도 표준어임.

‘뺨’의 비속어임.

두 조각으로 가르다.

뽐내다

 

 

~돈, ~말, ~발, ~푼

~냥, ~되, ~섬, ~자

 

먹습니다, 갔습니다, 없습니다,

있습니다, 좋습니다

모음 뒤에는 ‘-ㅂ니다’임.

 

 

 

 

 

 

돼지 부르는 소리

 

 

작은 말은 ‘오도카니’임.

 

발~, 손~

 

‘짚북더기’도 비표준어임.

편(便). 이~, 그~, 저~

다만, ‘아무-짝’은 ‘짝’임.

‘천정부지(天井不知)’는 ‘천정’임.

 


제 5 절  복수 표준어


제 18 항  다음 단어는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도 허용한다.


비고

쇠-

괴다

소-

고이다

 

-가죽, -고기, -기름, -머리, -뼈

물이~. 밑을~.

꾀다

쐬다

죄다

쬐다

꼬이다

쏘이다

조이다

쪼이다

어린애를~. 벌레가~.

바람을~.

나사를~.

볕을~.


제 19 항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ㄱ, ㄴ을 모두 표준어로 삼음.)


비고

거슴츠레-하다

고까

고린-내

교기(驕氣)

구린-내

꺼림-하다

나부랭이

게슴츠레-하다

꼬까

코린-내

갸기

쿠린-내

께름-하다

너부렁이

 

~신, ~옷

 

교만한 태도

 


제 3 장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 1 절  고어


제 20 항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난봉

낭떠러지

설거지-하다

애달프다

오동-나무

자두

설겆다

애닯다

머귀-나무

오얏

 


제 2 절  한자어


제 21 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용도를 잃게 된 것은, 고유어 계열의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가루-약

구들-장

길품-삯

까막-눈

꼭지-미역

나뭇-갓

늙-다리

두껍-닫이

떡-암죽

말-약

방-돌

보행-삯

맹-눈

총각-미역

시장-갓

노닥다리

두껍-창

병-암죽

 

 

 

 

 

 

 

 

 

마른-갈이

마른-빨래

메-찰떡

박달-나무

밥-소라

사래-논

사래-밭

삯-말

성냥

솟을-무늬

외-지다

움-파

잎-담배

잔-돈

조-당수

죽데기

지겟-다리

짐-꾼

푼-돈

흰-말

흰-죽

건-갈이

건-빨래

반-찰떡

배달-나무

식-소라

사래-답

사래-전

삯-마

화곽

솟을-문(-紋)

벽-지다

동-파

잎-초

잔-전

조-당죽

피-죽

목-발

부지-군(負持-)

분-전/푼-전

백-말/부루-말

백-죽

 

 

 

 

큰 놋그릇

묘지기나 마름이 부쳐 먹는 땅

 

 

 

 

 

 

 

 

 

‘죽더기’도 비표준어임.

지게 동발의 양쪽다리

 

 

‘백마’는 표준어임.

 


제 22 항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아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개다리-소반

겸-상

고봉-밥

단-벌

마방-집

민망-스럽다/면구-스럽다

방-고래

부항-단지

산-누에

산-줄기

수-삼

심-돋우개

양-파

어질-병

윤-달

장력-세다

제-석

총각-무

칫-솔

포수

개다리-밥상

맞-상

높은-밥

홑-벌

마바리-집

민주-스럽다

구들-고래

뜸-단지

멧-누에

멧-줄기/멧-발

무-삼

불-돋우개

둥근-파

어질-머리

군-달

장성-세다

젯-돗

알-무/알타리-무

잇-솔

총-댕이

 

 

 

 

馬房~

 

 

 

 

제 3 절  방언


제 23 항  방언이던 단어가 표준어보다 더 널리 쓰이게 된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이 경우, 원래의 표준어는 그대로 표준어로 남겨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도 표준어로 남겨 둠.)


비고

멍게

물-방개

애-순

우렁쉥이

선두리

어린-순

 


제 24 항  방언이던 단어가 널리 쓰이게 됨에 따라 표준어이던 단어가 안쓰이게 된 것은, 방언이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귀밑-머리

까-뭉개다

막상

빈대-떡

생인-손

역-겹다

코-주부

귓-머리

까-무느다

마기

빈자-떡

생안-손

역-스럽다

코-보

 

 

 

 

준말은 ‘생-손’임.


제 4 절  단수 표준어


제 25 항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 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비고

-게끔

겸시-겸사

고구마

고치다

골목-쟁이

광주리

괴통

국-물

군-표

길-잡이

까다롭다

 

까치-발

꼬창-모

나룻-배

납-도리

농-지거리

다사-스럽다

-게시리

겸지-겸지/겸두-겸두

참-감자

낫우다

골목-자기

광우리

호구

멀-국/말-국

군용-어음

길-앞잡이

까닭-스럽다/

  까탈-스럽다

까치-다리

말뚝-모

나루

민-도리

기롱-지거리

다사-하다

 

 

 

병을~.

 

 

자루를 박는 부분

 

 

‘길라잡이’도 표준어임.

 

 

신반 따위를 받치는 물건

꼬창이로 구멍을 뚫으면서 심는 모

‘나루[津]’는 표준어임.

 

다른 의미의 ‘기롱지거리’는 표준어임.

간섭을 잘 하다.

다오

담배-꽁초

 

 

담배-설대

대장-일

뒤져-내다

뒤통수-치다

등-나무

등-때기

등잔-결이

떡-보

똑딱-단추

매-만지다

먼-발치

며느리-발톱

명주-붙이

목-메다

밀짚-모자

바가지

바람-꼭지

 

반-나절

반두

버젓-이

본-받다

부각

부끄러워-하다

부스러기

부지깽이

부항-단지

 

붉으락-푸르락

비켜-덩이

 

빙충-이

빠-뜨리다

뻣뻣-하다

뽐-내다

사로-잠그다

 

살-풀이

상투-쟁이

새앙-손이

샛-별

선-머슴

섭섭-하다

다구

담배-꼬투리/

  담배-꽁치/

  담배-꽁추

대-설대

성냥-일

뒤어-내다

뒤꼭지-치다

등-칡

등-떠리

등경-걸이

떡-충이

딸꼭-단추

우미다

먼-발치기

뒷-발톱

주-사니

목-맺히다

보릿짚-모자

열-바가지/열-박

바람-고다리

 

나절-가웃

독대

뉘연-히

법-받다

다시마-자반

부끄리다

부스러기

부지팽이

부항-항아리

 

푸르락-붉으락

옆-사리미

 

방충-맞이

삐치-다

왜긋다

느물다

사로-채우다

 

살-막이

상투-꼬부랑이

생강-손이

새벽-별

풋-머슴

애운-하다

이리~.

 

 

 

 

 

 

 

 

‘등’의 낮은말.

 

 

 

 

 

 

 

 

 

 

튜브의 바람을 넣는 구멍에 붙은, 쇠로 만든 꼭지

 

그물의 한 가지

 

 

 

 

 

 

부스럼에서 피고름을 빨아내기 위하여 부항을 붙이는 데 쓰는 자그마한 단지

 

김맬 때에 흙덩이를 옆으로 빼내는 일,

또는 그 흙덩이

작은말은 ‘뱅충이’

‘빠트리다’도 표준어임.

 

 

자물쇠나 빗장 따위를 반 정도만 걸어

놓다.

 

상투 튼 이를 놀리는 말

 

 

 

 

속-말

손목-시계

 

손-수레

쇠-고랑

수도-꼭지

숙성-하다

순대

술-고래

 

 

식은-땀

신기-롭다

쌍동-밤

쏜살-같이

아주

안-걸이

안다미-씌우다

안쓰럽다

안절부절-못하다

앉은뱅이-저울

알-사탕

암-내

앞-지르다

애-벌레

얕은-꾀

언뜻

언제나

얼룩-말

-에는 

열심-히

입-담

자배기

전봇-대

주책-없다

쥐락-펴락

-지만

짓고-땡

 

짧은-작

찹-쌀

청대-콩

칡-범

속-소리

팔목-시계/

  팔뚝-시계

손-구루마

고랑-쇠

수도-고동

숙-지다

골집

술-꾸러기/

  술-부대/술보

  /술-푸대

찬-땀

신기-스럽다

쪽-밤

쏜살-로

영판

안-낚시

안다미-시키다

안-슬프다

안절부절-하다

앉은-저울

구슬-사탕

곁땀-내

따라-먹다

어린-벌레

물탄-꾀

펀뜻

노다지

워리-말

-엘랑

열심-으로

말-담

머벅지

전선-대

주책-이다

펴락-쥐락

-지만서도

지어-땡/

  짓고-땡이

짜른-작

이-찹쌀

푸른-콩

갈-범

국악 용어 ‘속소리’는 표준어임.

 

 

‘구루마’는 일본어임.

 

 

 

 

 

 

 

 

‘신기-하다’도 표준어임.

 

 

 

씨름 용어

제가 담당할 책임을 남에게 넘기다.

 

 

 

 

 

 

 

 

 

 

 

 

 

 

 

 

‘주착→주책’은 제11항 참조

 

←-지마는




제 5 절  복수 표준어


제 26 항  한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 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


복수 표준어

비고

가는-허리/잔-허리

가락-엿/가래-엿

가뭄/가물

가엾다/가엽다

감감-무소식/감감-소식

개수-통/설거지-통

개숫-물/설거지-물

갱-엿/검은-엿

-거리다/-대다

거위-배/횟-배

것/해

게을러-빠지다/게을러-터지다

고깃-간/푸줏-간

곰곰/곰곰-이

관계-없다/상관-없다

교정-보다/준-보다

구들-재/구재

귀퉁-머리/귀퉁-배기

극성-떨다/극성-부리다

기세-부리다/기세-피우다

기승-떨다/기승-부리다

깃-저고리/배내-옷/배냇-저고리

꼬까/때때/고까

꼬리-별/살-별

꽃-도미/붉-돔

나귀/당-나귀

날-걸/세-뿔

내리-글씨/세로-글씨

넝쿨/덩굴

녘/쪽

눈-대중/눈-어림/ 눈-짐작

느리-광이/느림-보/늘-보

늦-모/마냥-모

다기-지다/다기-차다

다달-이/매-달

-다마다/-고말고

다박-나룻/다박-수염

닭의-장/닭-장

댓-돌/툇-돌

덧-창/겉-창

독장-치다/독판-치다

 

 

 

가엾어/가여워, 가엾은/가여운

 

‘설겆다’는 ‘설거지-하다’로

 

 

가물-, 출렁-

 

내~, 네~, 뉘~

 

‘고깃-관, 푸줏-관, 다림-방’은 비표준어임.

 

 

 

 

‘귀퉁이’의 비어임.

 

 

 

 

~신, ~옷

 

 

 

윷판의 쨀밭 다음의 셋째 밭

 

‘덩쿨’은 비표준어임

동~, 서~

 

 

←만이앙-모

 

 

 

 

 

 

 

 

동자-기둥/쪼구미

돼지-감자/뚱딴지

되우/된통/되게

두동-무니/두동-사니

뒷-갈망/뒷-감당

뒷-말/뒷-소리

들락-거리다/들랑-거리다

들락-날락/들랑-날랑

딴-전/딴-청

땅-콩/호-콩

땔-감/땔-거리

-뜨리다/-트리다

뜬-것/뜬-귀신

마룻-줄/용총-줄

마-파람/앞-바람

만장-판/만장-중(滿場中)

만큼/만치

말-동무/말-벗

매-갈이/매-조미

매-통/목-매

먹-새/먹음-새

멀찌감치/멀찌가니/멀찍이

멱통/산-멱/산-멱통

면-치레/외면-치레

모-내다/모-심다

모쪼록/아무쪼록

목판-되/모-되

목화-씨/면화-씨

무심-결/무심-중

물-봉숭아/물-봉선화

물-부리/빨-부리

물-심부름/물-시중

물추리-나무/물추리-막대

물-타작/진-타작

민둥-산/벌검숭이-산

밑-층/아래-층

바깥-벽/밭-벽

바른/오른[右]

발-모가지/발-목쟁이

버들-강아지/버들-개지

벌레/버러지

변덕-스럽다/변덕-맞다

보-조개/볼-우물

보통-내기/여간-내기/예사-내기

볼-따구니/볼-퉁이/볼-때기

부침개-질/부침-질/지짐-질

불똥-앉다/등화-지다/등화-앉다

 

 

 

윷놀이에서, 두 동이 한데 어울려 가는 말

 

 

 

 

 

 

 

깨-, 떨어-, 쏟-

 

돛대에 매어놓은 줄. ‘이어줄’은 비표준어임.

 

 

 

 

 

 

‘먹음-먹이’는 비표준어임.

 

 

 

모-내기/모-심기

 

 

 

 

 

 

 

 

 

 

 

 

~손, ~쪽, ~편

‘발목’의 비속어임.

 

‘벌거지, 벌러지’는 비표준어임

 

 

‘행-내기’는 비표준어임.

‘볼’의 비속어임.

‘부치개-질’은 비표준어임.

 

불-사르다/사르다

비발/비용(費用)

뾰두라지/뾰루지

살-쾡이/삵

삽살-개/삽사리

상두-꾼/상여-꾼

상-씨름/소-걸이

생/새앙/생강

생-뿔/새앙-뿔/생강-뿔

생-철/양-철

서럽다/섧다

서방-질/화냥-질

성글다/성기다

-(으)세요/-(으)셔요

송이/송이-버섯

수수-깡/수숫-대

술-안주/안주

-스레하다/-스름하다

시늉-말/흉내-말

시새/세사(細沙)

신/신발

신주-보/독보(櫝褓)

심술-꾸러기/심술-쟁이

씁쓰레-하다/씁쓰름-하다

아귀-세다/아귀-차다

아래-위/위-아래

아무튼/어떻든/어쨌든/하여튼/여하튼

앉음-새/앉음-앉음

알은-척/알은-체

애-갈이/애벌-갈이

애꾸눈-이/외눈-박이

양념-감/양념-거리

어금버금-하다/어금지금-하다

어기여차/어여차

어림-잡다/어림-치다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

어저께/어제

언덕-바지/언덕-배기

얼렁-뚱땅/엄벙-뗑

여왕-벌/장수-벌

여쭈다/여쭙다

여태/입때

여태-껏/이제-껏/입때-껏

역성-들다/역성-하다

연-달다/잇-달다

엿-가락/엿-가래

엿-기름/엿-길금

 

 

 

삵-피

 

‘상도-꾼, 향도-꾼’은 비표준어임

 

 

‘쇠뿔’의 형용

1. ‘서양-철’은 비표준어임.

2. ‘生鐵’은 ‘무쇠’임.

‘설다’는 비표준어임.

 

 

 

 

 

 

거무-, 발그-

 

 

 

 

 

 

 

 

 

 

 

 

‘외대-박이, 외눈-퉁이’는 비표준어임.

 

 

 

 

 

 

 

 

 

 

‘여직’은 비표준어임.

‘여직-껏’은 비표준어임.

‘편역-들다’는 비표준어임.

 

 

엿-반대기/엿-자박

오사리-잡놈/오색-잡놈

옥수수/강냉이

왕골-기직/왕골-자리

외겹-실/외올-실/홑-실

외손-잡이/한손-잡이

욕심-꾸러기/욕심-쟁이

우레/천둥

우지/울-보

을러-대다/을러-메다

의심-스럽다/의심-쩍다

-이에요/-이어요

이틀-거리/당-고금

일일-이/하나-하나

일찌감치/일찌거니

입찬-말/입찬-소리

자리-옷/잠-옷

자물-쇠/자물-통

장가-가다/장가-들다

재롱-떨다/재롱-부리다

제-가끔/제-각기

좀-처럼/좀-체

줄-꾼/줄-잡이

중신/중매

짚-단/짚-뭇

쪽/편

차차/차츰

책-씻이/책-거리

척/체

천연덕-스럽다/천연-스럽다

철-따구니/철-딱서니/철-딱지

추어-올리다/추어-주다

축-가다/축-나다

침-놓다/침-주다

통-꼭지/통-젖

파자-쟁이/해자-쟁이

편지-투/편지-틀

한턱-내다/한턱-하다

해웃-값/해웃-돈

혼자-되다/홀로-되다

흠-가다/흠-나다/흠-지다

 

 ‘오합-잡놈’은 비표준어임.

 ~떡, ~묵, ~밥, ~튀김

 

 ‘홑겹-실, 올-실’은 비표준어임.

 

 

 우렛-소리/천둥-소리

 

 

 

 

 학질의 일종임.

 

 

 

 

 

 ‘서방-가다’는 비표준어임.

 

 

 ‘좀-체로, 좀-해선, 좀-해’는 비표준어임.

 

 

 

 오른~, 왼~

 

 

 모르는~, 잘난~

 

 ‘철-때기’는 비표준어임.

 ‘추켜-올리다’는 비표준어임.

 

 

 통에 붙은 손잡이

 점치는 이

 

 

 ‘해우-차’는 비표준어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생활 정보 목록

Total 99건 1 페이지
ⓘ 생활 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9 오징어 낙지 문어 한치 꼴뚜기 쭈꾸미 다리갯수? 몇개? 인기글 SDJ 03-20 13506
98 FM 라디오 방송국별 주파수 목록 (수원기준 리스트) 인기글 SDJ 02-22 11801
97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바꾼 이유, 바뀐 시기 인기글 SDJ 05-04 9136
96 전화번호 (지역번호, 국번 한자리 두자리 세자리 핸드폰 앞자리 국번 인기글 SDJ 01-30 7573
95 베트남인 이름 (구성, 발음, 한자표기...) 인기글 SDJ 05-04 7351
94 몇번째 생일이 맞아? / 몇번째 생일 / 돌잔치 / 첫돌 / 돐사진 / 우리나라만 인기글 SDJ 07-10 7263
93 나이에 따른 호칭 - 해제,지학,약관,이립,불혹,지천명,이순,고희,팔순,졸수,백수 인기글 SDJ 05-18 6479
92 [수정판] 종이컵 규격 온스 oz : ml 댓글1 인기글관련링크 SDJ 06-19 6221
91 고객센터 전화번호 모음 / 1588 / 080 / 센타/ 긴급출동 인기글 SDJ 09-22 6011
90 조선시대의 형벌제도 ((태형, 장형, 도형, 유형, 사형:교형, 참형, 능지처사, 오살, 육시, 부관참시..… 인기글 SDJ 05-04 5973
89 (작명시 주의 사항) 불용문자(不用文字) 인기글 SDJ 05-04 4627
88 평산 신씨(平山 申氏) 인기글 SDJ 05-04 4224
87 큐브 맞추는 법 / 공식 (2부) / 3X3 CUBE 3*3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4186
86 없어진 공휴일 / 공휴일/ 국경일 정리, 유래 댓글1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3968
85 버튼셀(수은전지) 호환규격표 인기글 SDJ 05-17 3848
84 거리,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인 리(里) 에 대해서... 인기글 SDJ 05-04 3679
83 전압, 전류, 전력 / 볼트, 암페어, 와트 / V, A, W / volt, ampere,watt 인기글 SDJ 05-04 3468
82 현행 한글 맞춤법 (88년도 맞춤법 개정안)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3455
81 상용 로그표(log table) / 로그(logarithm) 정의 인기글 SDJ 05-04 3377
80 조선왕조 - 태정태세문단세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3348
79 드라마 역대최고시청률순위 TOP60 (1992년 1월 ~ 2004년 8월, 2008년 ~ 2012년 TOP2… 인기글 SDJ 05-04 3348
78 북쪽을 나타내는 기준 (진북, 자북, 도북) 인기글 SDJ 05-04 3331
77 '이조(李朝)' / '이씨 조선'이 일제의 잔재?? / 유래 / 용어 / 역사 인기글 SDJ 05-04 3305
76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충청북도 인기글 SDJ 05-18 3177
75 빛의속도 광속, 음속 마하 속도 스피드 차이 몇배? 벼락 진원지 거리 / 달 태양 거리 인기글 SDJ 08-08 3118
74 물고기 새끼 이름 (간자미, 고도리, 설치, 노가리, 팽팽이, 전어사리...) & 잘못된 새끼이름 인기글 SDJ 05-04 3011
73 바람의 이름 인기글 SDJ 05-18 2984
72 아기이름 / 작명도우미 / http://www.agiirum.com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2903
71 민속 생활어 사전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2842
70 (증발) 팩스 / 무료 / 웹팩스 / 메이드샷 / madeshot.com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2821
69 태극기 그리는법 (작도법) / 다는법 (게양법) 인기글 SDJ 05-04 2739
68 짝수 마방진 만드는 법 인기글 SDJ 05-04 2702
67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금기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684
66 호주의 수도! ... ... 덧붙여 캐나다 인기글 SDJ 05-17 2586
65 해몽 / 꿈풀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576
64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경상남도] 인기글 SDJ 05-18 2566
63 '아리랑'의 뜻 인기글 SDJ 05-18 2534
62 본관과 성씨 인구순 인기글 SDJ 05-18 2484
61 SKT 착신전환 부가서비스 / 리모콘 / 다른 전화로 설정 댓글1 인기글 SDJ 06-24 2458
60 키보드 특수문자의 명칭 / 이름 인기글 SDJ 05-04 2433
59 답변글 수 의 단 위 (참고:불교발원 용어 )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7 2419
열람중 표준어 규정 (88-2)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2360
57 너무 이뻐서 죽은 여자 인기글 SDJ 05-17 2352
56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제주도] 인기글 SDJ 05-18 2338
55 친화수 인기글 SDJ 05-17 2335
54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전라북도] 인기글 SDJ 05-18 2275
53 Xbox 360 유니버셜 미디어 리모컨 TV 리모컨 설정방법 인기글 SDJ 05-04 2213
52 전국의 명산 정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168
51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 사증(비자)면제 협정 체결국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2123
50 속담 사전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2122
게시물 검색

접속자집계

오늘
262
어제
354
최대
1,010
전체
339,891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sdj.kr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