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의 단 위 (참고:불교발원 용어 ) > ⓘ 생활 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 생활 정보

수 의 단 위 (참고:불교발원 용어 )

페이지 정보

작성자 SDJ 작성일17-05-17 09:28 조회2,490회 댓글0건

본문

글쓴이 : Jin (211.181.236.12)     날짜 : 09-04-08 14:24     조회 : 2180 



수유(須臾)

수유는 지극히 짧은 시간을 이르는 불교용어다.

수유에 관해서는 불전에 따라 다양하게 나온다.

"구사론(俱舍論)"에 따르면 30납박(臘縛)이 1수유(須臾)가 된다고 나와 있다.

아울러 30수유가 1주야라고 한다.

"유가윤기(瑜伽倫記)"에서는 모호율다(牟呼栗多)를 수유라고 부른다.

"범어잡명(梵語雜名)"에서 수유는 범어 크사나이며 찰나와 같다라고 되어 있다.

어쨌든 수유는 아주 짧은 시간이다.

흔히들 "세월도 수유런가"라든지 "인생이 수유같다"든지 하는 식으로 많이 쓰이고 있다.

생명력이 있다는 얘기다.

여기서 소수(小數)에 대해서 알아보자.

10진법으로 나간다.

分(푼), 厘(리), 毛(모), 絲(사), 忽(홀), 微(미), 纖(섬), 沙(사), 塵(진), 埃(애), 渺(묘), 漠(막),
模糊(모호), 逡巡(준순), 須臾(수유), 瞬息(순식), 彈指(탄지), 刹那(찰나), 六德(육덕), 虛(허),
空(공),淸(청), 淨(정) 등이 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할 푼 리 모와는 좀 다르다.

이를 테면 지금 쓰는 푼은 10의 -2승인데 소수체계에선 10의 -1승이다.

중요한 것이 아니니 그저 있다는 것만 알아두자


 

찰나(刹那)

산스크리트어의 크샤나를 음역한 말. 의역하면 순간이란 뜻이다.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娑論)에 따르면 120찰나를 1달찰나(?刹那)라고 한다.

또 60달찰나(?刹那)를 1납박(臘縛)이라고 한다.

아울러 30납박(臘縛)을 1모호율다(牟呼栗多)라고 부른다.

그리고 30모호율다를 1주야(晝夜)라고 정하고 있다.

그렇게 따지면 1찰나는 75분의 1초에 해당한다. 약 0,013초가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전광석화의 순간이 아닐수 없다.

이러한 찰나와 더불어 쓰이는 불교용어들이 있다.

흔히 우리가 순간의 쾌락과 안일에 빠져 사는 것을 찰나주의(刹那主義)라 부른다.

또는 찰나의 사이에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사상(四相)이 변하는 것을
찰나무상(刹那無常)이라고 한다.

한편 찰나찰나에 생(生)하고 멸(滅)하는 것을 찰나생멸(刹那生滅)이라고 부른다.

사실 그렇게 본다면 영겁과 찰나가 하나일 수밖에 없다.

영겁속에 찰나가 있고 찰나속에 영겁이 있는 것이다. 찰나찰나를 영겁 처럼 살아야 한다.

겁(劫)

시간의 단위로 영원하고 무한한 불교의 시간을 이른다.

일명 겁파(劫波)라고도 한다.

범어로 칼파, 팔리어로 카파라 한다.

세계가 성립되어 존속하고 파괴되어 공(空)이 되는 시간을 말한다.

무한 시간이요 무량 시간이라 할수 있다.

""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사방 1유순(由旬·10킬로미터)의 거대한 바위를 1백년마다 한번씩 흰 천으로 닦는다.

이렇게 해서 그 돌이 다 닳아 없어져도 겁은 끝나지 않는다고 한다.

또는 사방상하 1유순(由旬)이나 되는 철성(鐵城)안에 겨자씨를 가득채우고 1백년마다
한 알씩 꺼낸다.

그렇게 해서 겨자씨를 다 꺼냈어도 겁은 끝나지 않는다.

앞의 것을 겨자겁[芥子劫], 뒤의 것을 반석겁(盤石劫)이라고 한다.

또한 성주괴공(成住壞空)의 사겁(四劫)이 한번 진행되는 것을 일대겁(一大劫)이라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한번 발심해서 성불하기 까지의 시간을 삼아승기겁(三阿僧祇劫),
백대겁(百大劫)이라고 한다.

흔히 쓰는 말로 영겁(永劫)이란 것이 아마도 이런 것일 게다.

이렇듯 불교의 시간개념은 초월적이고 몽환적이다.

무량수(無量數)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를 이른다.

이론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수(數)중에서 가장 큰 수다.

10의 68승이나 된다고 한다.

일명 무량대수(無量大數)라고도 한다.

불교에서는 무량(無量)이란 용어를 다양하게 쓰고 있다.

아미타불을 의역하여 무량수불(無量壽佛)이라거나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 부른다.

무량겁(無量劫)이라고 하면 헤아릴수 없이 기나긴 세월을 말한다.

무량공덕(無量功德)이라면 헤아릴수 없는 부처님의 공덕이다.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면 헤아릴수 없는 빛의 부처님 즉 아미타불을 지칭한다.

수없이 많은 무량(無量)접두사는 불교의 광대무변한 진리와 깨달음의 세계를 상징한다.

당연히 무량수(無量數)도 가없는 우주적 에너지를 지닌 무한대 수인 것이다.

인간 이성과 판단의 지평을 뛰어 넘는 초월수라 할 수 있다.

불가사의(不可思議)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헤아릴수 없는 오묘한 이치나 가르침을 말한다.

아울러 이해할 수 없는 경이로운 상태를 이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뜻은 후자일 것이다.

그래서 세계 7대불가사의도 이러한 의미에서 나왔다.

한편 불교의 대수(大數)개념에서 불가사의는 10의 64승에 해당하는 상상초월의 수다.

나유타(那由他)의 만배에 해당한다.

역시 수학적 논리보다는 철학적 우주적 사유로 비춰 보는 것이 더 이해하기 쉽다.

이 말은 여러 경전에서 나온다.

화엄경에 따르면 "부처의 지혜는 끝이 없고 그 법(法)인 몸은 불가사의하다"는 말이 나온다.

아울러 이 경전의 "불가사의품"에선 부처는 10대 불가사의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또한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에서는 중생· 용· 국토의 경계를 불가사의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깨달음의 경지를 불가사의라고 한다.

나유타(那由他)

인도의 수량단위. 일명 나유다(那由多) 나유타(那由) 나술(那述)이라고도 한다.

나유타(那由他)도 정확한 수의 개념이 없다.

현재 나와있는 어떤 책에도 정설이 없다.

역시 가장 이해하기 쉬운 만진법을 따르자.

그렇게 되면 아승기(阿僧祇)의 만배인 10의 60승이다.

0을 찾아낸 인도인답게 수리철학에 있어선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인도가 새로운 신흥대국 브릭스(BRICS)의 일원으로 IT강국으로 떠오르는 것도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사족(蛇足)을 붙인다면 서양의 큰 수는 1000단위로 이름이 붙여진다.

킬로, 메가, 기가, 테라, 페타, 엑사, 요타로 커진다.

모두 천배 단위로 증가한다.

또한 밀리, 마이크로, 나노, 피코, 펨토, 아토도 역시 천배 단위로 작아 진다.

즉 천분의 1이란 이야기다.

생각해 보면 수의 세계도 참 재미있다.

아승기(阿僧祇)

아승기는 불교수리학의 개념으로 헤아릴수 없이 많은 수를 지칭한다.

범어 아상가를 음역한 것이다. 풀이하면 10의 56승이라고 한다.

항하사보다 다음으로 큰 수다. 만항하사(萬恒河沙)라고 한다.

이러한 대수(大數)는 여러 설이 있으나 이설이 너무 많으니 가장 쉬운 만진법만 알아 두면 된다.

일 십 백 천 만하다가 만부터는 만배씩 늘어난다.

억(億) 조(兆) 경(京) 해(垓) 자(?) 양(穰) 구(溝) 간(澗) 정(正) 재(載) 극(極)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다음 수인 항하사부터는 불교용어다.

항하사(恒河沙) 아승기(阿僧祇) 나유타(那由他) 불가사의(不可思議) 무량수(無量數)까지다.

거의가 철학적이고 초월적인 언어들이다.

동양인의 상상력과 무한공간이 느껴지는 대목이 아닐수 없다.

상상을 뛰어 넘는 수의 행진에 아연해 진다. 

항하사(恒河沙)

항하(恒河)는 인도의 갠지스강을 이른다.

고로 항하사는 갠지스강의 모래란 뜻이다.

이것을 불교에서는 이루 헤아릴수 없이 많은 수로 비유한다.

바로 이전의 대수인 극(極)의 만배에 해당한다.

항하사 부터는 불교에서 유래된 말이다.

풀어 보면 10의 52승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상상초월의 수가 아닐수 없다.

"대지도론(大智度論)"에 따르면 항하는 부처님이 나신 곳이라고 한다.

또한 항하는 복덕이 충만한 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몸을 씻으면 죄업이
사라진다고 되어 있다.

한편 "아함경(阿含經)"에 따르면 항하가 우구(牛口)에서 나와 500개의 하수를 거두어
동해로 들어간다고 한다.

이어 사자구(獅子口)에서 나와 500하천을 따라 남해로 흘러 간다고 한다.

원래 갠지스강은 범어로 "강가"라고 한다. 길이만도 2,460킬로미터에 달한다.

이 강의 유역에는 바라나시를 비롯, 하르드와르, 알라하바드 등 수많은 힌두교 성지가
자리잡고 있다.

장구한 인도 문화와 역사의 무대인 것이다.

이러한 위대한 강을 빗대어 대수(大數)의 상징으로 한 것이다.

건달

아무 것도 하는 일이 없이 빈둥빈둥대는 사람을 일러 건달이라고 한다.

이때는 백수(白手)를 접두사로 한켜 얹어 백수건달이라고도 한다.

아니면 동네에서 주먹깨나 쓰면서 건들거리는 사람을 일러 건달이라고 붙이기도 했다.

원래 이 말은 불교의 건달바(乾?婆)에서 유래된 말이다.

건달바는 음악의 신으로 긴나라(緊那羅)와 더불어 제석천을 모시며 음악을 연주한다.

지금은 안그렇지만 한때 우리나라에서 음악을 한다면 집안 말아먹을 사람으로
치부한 적이 있었다.

한마디로 부랑과 무위도식의 동의어로 쓰일 만큼 음악이 홀대받은 시대가 있었다.

불과 수십년전의 이야기였다.

지금 이름깨나 있는 명가수들도 한때 이와 유사한 가문망신 운운하는
신화를 간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팔부중(八部衆)의 하나이신 고귀한 건달바가 대한민국 땅에서
창졸지간에 건달신세가 된 것이다.

땡추

우리가 흔히 스님같지 않은 사람을 빗대 땡추라고 한다.

한마디로 주색잡기나 하면서 사기나 치는 나쁜 스님이란 뜻이다.

그런데 어떻게 하다가 땡추라는 말이 생겨났을까.

원래 땡추는 당취(黨聚)라는 점잖은 말에서 유래한다.

글자그대로 무리 당(黨), 모일 취(聚)니 스님의 비밀결사를 이르는 말이었다.

사회적 약자였던 스님들이 스스로의 자구책으로 만든 커뮤니티인 것이다.

이들은 조선후기 사회가 혼란해짐에 따라 민중반란에 개입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타락과 속화(俗化)되어 버린 것이다.

본래의 뜻과 멀어진 안타까운 말이 아닐수 없다.

단말마(斷末魔)

지금은 잘 안쓰는 표현이지만 한때 신문기사나 소설에서 잘 팔렸던 구절이다.

"단말마의 비명을 지르며.... 운운"하는 식의 문장이다.

여기서 말마는 범어 marman의 음역으로 급소라는 뜻이다.

고대 인도 의학에서는 인체에 이러한 급소 즉 말마가 10군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런 말마가 끊어지는(斷) 고통이니 오죽하랴.

격심하고 처절한 고통을 이를 때 흔히 쓰는 불교말이다.

크게 아프지 않고 살다만 가도 행복한 것이다
.

아귀다툼

아수라장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그것보다는 훨씬 더 탐욕적이고 이기적이다.

아수라의 전쟁은 제석천(帝釋天)이라는 콤비라도 있지 아귀다툼은 굶주린
아귀(餓鬼)처럼 걸신들린 참혹지경이다.

굶주린 귀신이란 이름의 아귀는 배는 산과 같고 목구멍은 바늘귀같다.

검은 가죽과 뼈만 남아 있다.

인도에서는 제사지내줄 자식이 없는 경우 죽어서 아귀가 된다고 믿었다.

이런 아귀들은 먹을 것만 보면 이성을 잃고 난투극을 벌인다.

생각할수록 끔찍하다.

아귀다툼까지 하면서 살 만큼 인생이 가치가 있을까.

아수라장(阿修羅場)

누군가 서로 싸워 엉망진창이 되어 있는 것을 우리는 종종 아수라장
혹은 아수라판이 되었다고 푸념한다.

고대 인도 시대부터 아수라(阿修羅)는 악신의 대명사로 전쟁신으로 불리기도 했다.

특히 선신(善神) 제석천과 싸우는 카운터 파트로서 유명세를 떨치기도 했다.

신기한 것은 불교의 신들중 과거 악명을 떨쳤던 전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지금은 불법을 수호하는 팔부중(八部衆)의 하나로 편입되어 있다.

지금도 세상은 아수라판이다.


야단법석(野壇法席)

야단법석이란 시골 장터처럼 시끌벅적한 것을 이르는 말이다.

아직도 언어의 생명주기가 팔팔한 말이다.

"무얼 그리 야단법석이야"라든지 "오늘 따라 왠 야단법석이냐"는 말을 항다반사로 쓴다.

원래 이 말은 문자풀이대로 야외에 단을 세워 법을 설(說)한다는 뜻이다.

그러다보니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들어 꽤나 시끄러웠을 것이다.

이럴 때 절집도 잿빛의 우울을 벗어 던진다.

사하촌(寺下村)도 떡하느라 시끌벅적, 이렇게 사찰경제의 인드라망이 이루어졌다.

다반사(茶飯事)

다반사란 문자그대로 차마시고 밥먹는 일이다.

보통 항다반사(恒茶飯事)라고도 한다.

이를테면 싸움질을 다반사로 한다면 싸움에 이골난 사람을 이르는 말이 된다.

그만큼 다반사란 흔히 하는 일을 일컬을 때 쓴다.

이 말은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나온 말로 밥먹고 잠자고 차마시는 일상적인 것이
선(禪)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의 일상사에 깨달음이 있다는 의미다.

찰나(刹那)

찰나같이 짧은 시간.

그렇다.

찰나는 아주 짧은 시간을 비유할 때 종종 쓰이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 찰나의 어원은 어디서 왔을까.

이 말은 범어의 쿠사나(ksana)를 음역한 것으로 아주 짧은 시간이란 뜻에서 나온 말이다.

정확히 따진다면 75분의 1초라고 한다.

찰나같은 인생을 영원한 인생으로 바꾸는게 불교다.

말세(末世)

어쩌다 우리가 못볼 것을 보면 "말세야 말세"라는 말을 무심중에 던진다.

심지어 기독교의 이단에서는 수시로 말세 신드롬을 일으켜 혹세무민하는 경우도 있다.

말세는 공포와 불안을 먹으며 불가사리처럼 죽지않고 번진다.

그런 말세의 출발은 사실 불교다.

불교에서는 정상말(正像末) 삼시(三時)라고 해서 정법 상법 말법으로 시대를 나눈다.

여기서 정법(正法)은 교(敎)와 행(行)과 증(證)이 고루 갖추어져 있는 5백년이요,

상법(像法)은 교와 행은 있으나 증이 없는 1천년이다.

그리고 말법(末法)은 교만 있고 행과 증이 없는 1만년이란 얘기다.

이미 우리는 말법의 시대인 말세에 살고 있는 것이다.

사자후(獅子吼)

원래 사자후란 백수의 왕 사자가 울부짖으면 모든 짐승들이 엎드려 떤다는 말이다.

이것에 빗대어 불교에서 일체를 엎드려 승복하게 하는 부처님의 설법(說法)을 사자후라고 한다.

이것이 크게 열변을 토한다는 뜻으로 확산된 셈이다.

지금은 사자후 토하는 정치가도 볼수 없으니 낭만의 시대가 그리워지기도 한다
.

무진장(無盡藏)

무진장(無盡藏)은 한자 뜻 그대로 끝없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대승의장(大乘義章)에 보면 ""덕이 넓고 궁(窮)함이 없는 것을 무진(無盡)이라 하고
이 무진한 덕을 포함하는 것을 장(藏)이라한다""고 되어 있다.

여기서 무진(無盡)은 다함이 없다는 것이고 장(藏)은 곳간이란 뜻으로 쓰였다.

불법의 무궁무진함을 비유한 것이다.

지금도 무진장 많다는 말은 흔히들 쓰인다.

우리말에 써도 써도 한없이 나오는 보물그릇을 빗대 화수분이라 부른다.

집안에 무진장한 화수분 한 동이 있으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을까.

아직 그런 사람을 만나본 적이 없다.


동냥

동령(動鈴)에서 유래된 말이다.

동령이란 문자그대로 방울을 흔든다는 뜻이다.

스님들이 탁발을 나갔을 때 염불과 함께 방울을 흔들어 존재를 일깨웠다.

그러다보니 방울을 흔드는 동령이 구걸과 진배없게 인식되고 말았다.

동령이 동냥으로 변하면서 자연스레 동냥아치, 동냥그릇등의 말도 생겨났다.

이판사판(理判事判)

이판사판(理判事判)은 불교의 이판승(理判僧)과 사판승(事判僧)에서 나온 말이다.

이판승이란 일명 공부승이라고 불릴 만큼 구도와 수행을 하는 스님이다.

그리고 사판승은 산림승(山林僧)이라고 해서 절살림을 도맡아 하는 스님이다.

말하자면 이판과 사판은 대립과 충돌의 개념이 아니라 공존과 상생의 개념이다.

요즘들어 이판사판 공사판이란 말도 생겼다.

아주 힘들고 괴로워 마지막에나 하는 일이란 말이다.

조선왕조 시대에도 스님이 된다는 것은 인생막장으로 가는 길과 진배없었다.

그러나 근래들어 이에 대한 또다른 해석이 떠돌고 있다.

절집의 돈을 주무르는 사판승의 타락과 오염은 당연한 것이고 수행승이라 할수 있는
이판승의 부패도 적지않다는 시각에서 나온 말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그런 일이 비일비재하다보니 이판승이나 사판승이나 다 도둑이란 비애스런
뉘앙스를 풍기는 이판사판이 아닐수 없다.

바라지

순수한 우리말로 옆에서 돕는다는 뜻이다.

흔히 옥바라지, 해산바라지, 뒷바라지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원래는 불교에서 재(齋)를 올릴 때 법주(法主)스님을 도와 옆에서 경전을 독송하거나
가영(歌詠)을 부르는 스님을 바라지 스님이라 불렀다.

세상에 독불장군이란 없다.

바라지 잘 한 자식이 역시 가문의 낙락장송이 된다.

바라지 잘못하면 되바라진 자식이 나온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생활 정보 목록

Total 99건 1 페이지
ⓘ 생활 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9 오징어 낙지 문어 한치 꼴뚜기 쭈꾸미 다리갯수? 몇개? 인기글 SDJ 03-20 13701
98 FM 라디오 방송국별 주파수 목록 (수원기준 리스트) 인기글 SDJ 02-22 11919
97 국민학교에서 초등학교로 바꾼 이유, 바뀐 시기 인기글 SDJ 05-04 9303
96 전화번호 (지역번호, 국번 한자리 두자리 세자리 핸드폰 앞자리 국번 인기글 SDJ 01-30 7716
95 몇번째 생일이 맞아? / 몇번째 생일 / 돌잔치 / 첫돌 / 돐사진 / 우리나라만 인기글 SDJ 07-10 7428
94 베트남인 이름 (구성, 발음, 한자표기...) 인기글 SDJ 05-04 7427
93 나이에 따른 호칭 - 해제,지학,약관,이립,불혹,지천명,이순,고희,팔순,졸수,백수 인기글 SDJ 05-18 6623
92 [수정판] 종이컵 규격 온스 oz : ml 댓글1 인기글관련링크 SDJ 06-19 6305
91 고객센터 전화번호 모음 / 1588 / 080 / 센타/ 긴급출동 인기글 SDJ 09-22 6100
90 조선시대의 형벌제도 ((태형, 장형, 도형, 유형, 사형:교형, 참형, 능지처사, 오살, 육시, 부관참시..… 인기글 SDJ 05-04 6030
89 (작명시 주의 사항) 불용문자(不用文字) 인기글 SDJ 05-04 4697
88 평산 신씨(平山 申氏) 인기글 SDJ 05-04 4271
87 큐브 맞추는 법 / 공식 (2부) / 3X3 CUBE 3*3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4256
86 없어진 공휴일 / 공휴일/ 국경일 정리, 유래 댓글1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4120
85 버튼셀(수은전지) 호환규격표 인기글 SDJ 05-17 3913
84 거리,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인 리(里) 에 대해서... 인기글 SDJ 05-04 3778
83 드라마 역대최고시청률순위 TOP60 (1992년 1월 ~ 2004년 8월, 2008년 ~ 2012년 TOP2… 인기글 SDJ 05-04 3551
82 전압, 전류, 전력 / 볼트, 암페어, 와트 / V, A, W / volt, ampere,watt 인기글 SDJ 05-04 3550
81 현행 한글 맞춤법 (88년도 맞춤법 개정안)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3507
80 상용 로그표(log table) / 로그(logarithm) 정의 인기글 SDJ 05-04 3489
79 조선왕조 - 태정태세문단세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3434
78 북쪽을 나타내는 기준 (진북, 자북, 도북) 인기글 SDJ 05-04 3389
77 '이조(李朝)' / '이씨 조선'이 일제의 잔재?? / 유래 / 용어 / 역사 인기글 SDJ 05-04 3378
76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충청북도 인기글 SDJ 05-18 3244
75 빛의속도 광속, 음속 마하 속도 스피드 차이 몇배? 벼락 진원지 거리 / 달 태양 거리 인기글 SDJ 08-08 3230
74 물고기 새끼 이름 (간자미, 고도리, 설치, 노가리, 팽팽이, 전어사리...) & 잘못된 새끼이름 인기글 SDJ 05-04 3064
73 바람의 이름 인기글 SDJ 05-18 3052
72 아기이름 / 작명도우미 / http://www.agiirum.com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3019
71 민속 생활어 사전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2911
70 (증발) 팩스 / 무료 / 웹팩스 / 메이드샷 / madeshot.com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2880
69 태극기 그리는법 (작도법) / 다는법 (게양법) 인기글 SDJ 05-04 2802
68 짝수 마방진 만드는 법 인기글 SDJ 05-04 2766
67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금기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727
66 해몽 / 꿈풀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664
65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경상남도] 인기글 SDJ 05-18 2633
64 호주의 수도! ... ... 덧붙여 캐나다 인기글 SDJ 05-17 2631
63 '아리랑'의 뜻 인기글 SDJ 05-18 2628
62 본관과 성씨 인구순 인기글 SDJ 05-18 2570
61 SKT 착신전환 부가서비스 / 리모콘 / 다른 전화로 설정 댓글1 인기글 SDJ 06-24 2533
60 키보드 특수문자의 명칭 / 이름 인기글 SDJ 05-04 2530
열람중 답변글 수 의 단 위 (참고:불교발원 용어 )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7 2491
58 표준어 규정 (88-2) 인기글첨부파일 SDJ 05-18 2419
57 친화수 인기글 SDJ 05-17 2415
56 너무 이뻐서 죽은 여자 인기글 SDJ 05-17 2414
55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 [제주도] 인기글 SDJ 05-18 2378
54 답변글 Re: 전국의 명산 정보[전라북도] 인기글 SDJ 05-18 2371
53 Xbox 360 유니버셜 미디어 리모컨 TV 리모컨 설정방법 인기글 SDJ 05-04 2287
52 전국의 명산 정보 인기글관련링크 SDJ 05-18 2230
51 무비자 입국 가능 국가 - 사증(비자)면제 협정 체결국 인기글관련링크 SDJ 05-04 2198
50 피보나치 수열 인기글 SDJ 05-17 2182
게시물 검색

접속자집계

오늘
180
어제
333
최대
1,010
전체
349,357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sdj.kr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